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 기관소식 > 정보마당
중독포럼 - 고위험 음주자의 음주행동 변화에서 동기면담(MI)과 인지행동치료(CBT)의 효과

관리자 2021년 07월 29일 17:04 조회 430

<출처: 2021년 3-4월호 중독포럼 Research Review >
고위험 음주자의 음주행동 변화에서 동기면담(MI)과 인지행동치료(CBT)의 효과
Research reviewer
중독포럼 이사 강경화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불건강한 행동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까문제음주 행동변화를 돕는 상담 등의 치료적 중재는 조기에 제공될 때 효과적이며불 건강한 행동 변화를 위하여 변화 동기를 형성하는 동기면담(MI)과 변화를 실천하도록 돕는 행동 기반 접근의 인지행동치료(CBT)가 결합될 때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MI는 치료적 관계형성을 포함해 대상자의 변화에 대한 생각이나 변화과정을 다루고 있기에 행동 변화의 과정이나 맥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실험 연구를 위한 질적 자료 내재 설계 동시적 혼합 연구 방법에 따라 MI와 CBT 결합 중재의 양적인 효과를 의사결정균형(Decisional balance: DB), 음주거절효능감(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RSE), 음주행동(Alcohol drinking behavior: ADB)으로 평가하였으며측정 도구를 통해 드러내지 못하는 참여자의 변화 과정과 상황적 맥락을 질적 자료로 수집하여 주된 양적 결과에 보완하였다(그림 1).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사업장의 남성으로서 알코올사용장애 선별 검사 결과 16점 이상 48명을 무작위 배정하였다최종적으로 실험군 24대조군 23명이 참여하였으며실험군에게는 8주 동안 주 1, MI와 CBT 결합 중재(Figure 2)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알코올정보에 대한 자료집만 제공하였다.
MI와 CBT 결합 중재 1회기는 대상자의 일상(typical day)을 검토하면서 음주행동으로 경험하는 부정적 결과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평가하면서 관계형성에 집중하였다. 1회기 종료 시 과제로 음주일지를 작성하도록 한 후 2회기부터 회기 시작 전 점검하였다. 2회기는 의사결정균형 연습으로 가치 탐색을 하면서 음주행동 변화 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3회기는 음주 사회 규범이나 알코올에 대한 정보를 이끌어내기(E)-제공하기(P)-이끌어내기(E) 전략으로 제공하면서 변화 대화를 유발하고 피드백 보고서도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4회기는 과거의 성공 경험과 강점을 탐색하고 고위험 상황에서의 대안과 행동 모니터링 전략에 대하여 계획하였다5-7회기는 전화를 통하여 일상에서 장애물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을 실천하면서 스스로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8회기는 지속적으로 행동변화를 촉진한 후 종결하였다회기 운영은 MI 정신을 기반으로 비판단적이고 균형잡힌 태도로 열린 질문하기인정해주기반영적 경청요약하기의 MI 기술 및 자기 모니터링과 문제해결기술의 CBT 전략을 활용하였고사용한 기술 일부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중재 회기는 평균 36분이 적용되었으며전화 관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 결과 MI와 CBT 결합 중재를 제공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긍정적 음주결과기대(F=3.827, p=.025), 음주거절 효능감(F=4.426, p=.015)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부정적 음주 결과기대와 문제음주 행동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MI와 CBT 결합 중재로 참여자는 음주 이익에 대한 생각의 감소음주손실에 대한 생각의 변화음주행동의 변화와 자기효능감의 성취에 관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MI와 CBT 결합 중재는 공중보건 영역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문제음주 예방 전략으로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그림 1. Procedures and data collection. 
DB: Decisional Balance, DRSE: Drinking Refusal Self-Ef Drinking Behavior, F2F: Face to Face.

표 1. Intervention protocol

표 2.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